기준 중위소득 100% 기준표 및 계산 방법 2026 은 가구원 수에 따라 복지 지원 자격과 다양한 혜택 수급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기준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6년 최신 기준표와 함께 실제 소득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계산 방법과 예시를 제공합니다. 복지 혜택 신청 전, 우리 가구가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지 바로 확인해보세요.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50%)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입니다. 정부는 매년 고시된 기준 중위소득을 바탕으로 각종 복지제도의 수급 기준을 정합니다.
2025·2026 중위소득 비교표
가구원 수 | 2025년 | 2026년 | 증가액 | 인상률 |
---|---|---|---|---|
1인 | 2,392,013 | 2,564,238 | 172,225 | +7.20% |
2인 | 3,932,658 | 4,199,292 | 266,634 | +6.79% |
3인 | 5,025,353 | 5,359,036 | 333,683 | +6.63% |
4인 | 6,097,773 | 6,494,738 | 396,965 | +6.51% |
5인 | 7,108,192 | 7,556,719 | 448,527 | +6.31% |
6인 | 8,064,805 | 8,555,952 | 491,147 | +6.08% |
7인 | 8,988,428 | 9,515,150 | 526,722 | +5.86% |
※ 8인 이상 가구는 2026년 1인 추가 시 959,198원 가산.
대표 급여 예시(1인·4인)
1인가구
2026년 1인가구 중위소득 100%는 2,564,238원입니다.
예시: 월급 약 256만원이면 1인가구 중위소득 100%와 유사합니다.
4인가구
2026년 4인가구 중위소득 100%는 6,494,738원입니다.
예시: 맞벌이 각 320만~330만원 수준이면 4인가구 100%에 해당.
가구별 급여 예시 모음
- 2인가구: 총소득 약 420만원 → 중위소득 100%
- 3인가구: 총소득 약 536만원 → 중위소득 100%
- 5인가구: 총소득 약 756만원 → 중위소득 100%
- 6인가구: 총소득 약 856만원 → 중위소득 100%
- 7인가구: 총소득 약 952만원 → 중위소득 100%
생계급여 (32%)
가구원 수 | 32% 금액 |
---|---|
1인 | 820,556원 |
2인 | 1,343,773원 |
3인 | 1,714,892원 |
4인 | 2,078,316원 |
5인 | 2,418,150원 |
6인 | 2,737,905원 |
7인 | 3,044,848원 |
예시: 3인 170만원 → 5,359,036원의 약 31.7% → 생계급여 가능
의료급여 (40%)
가구원 수 | 40% 금액 |
---|---|
1인 | 1,025,695원 |
2인 | 1,679,717원 |
3인 | 2,143,614원 |
4인 | 2,597,895원 |
5인 | 3,022,688원 |
6인 | 3,422,381원 |
7인 | 3,806,060원 |
예시: 4인 250만원 → 6,494,738원의 약 38.5% → 의료급여 가능
주거급여 (48%)
가구원 수 | 48% 금액 |
---|---|
1인 | 1,230,834원 |
2인 | 2,015,660원 |
3인 | 2,572,337원 |
4인 | 3,117,474원 |
5인 | 3,627,225원 |
6인 | 4,106,857원 |
7인 | 4,567,272원 |
예시: 5인 340만원 → 7,556,719원의 약 45.0% → 주거급여 가능
교육급여 (50%)
가구원 수 | 50% 금액 |
---|---|
1인 | 1,282,119원 |
2인 | 2,099,646원 |
3인 | 2,679,518원 |
4인 | 3,247,369원 |
5인 | 3,778,360원 |
6인 | 4,277,976원 |
7인 | 4,757,575원 |
예시: 2인 190만원 → 4,199,292원의 약 45.2% → 교육급여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1. 내 소득이 중위소득 몇 %인지 계산하려면?
(내 소득인정액 ÷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100%) × 100 = 해당 %
Q2. 맞벌이·사업소득·재산도 반영되나요?
소득인정액 산정 시 근로·사업·재산(자동차·부동산·금융자산) 등이 함께 반영됩니다.
Q3. 8인 이상 가구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2026년은 1인 추가 시 959,198원씩 가산합니다.
Q4. 어디서 신청하나요?
주민등록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Q5. 중위소득과 최저임금은 같은가요?
다릅니다. 중위소득은 가구 소득의 중앙값, 최저임금은 시간당 임금 기준입니다.
마무리
2026년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평균 6~7% 인상되었습니다. 위 표와 예시로 내 가구의 구간을 확인하고, 해당된다면 복지로에서 빠르게 신청해 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총정리 | 7월 21일 최대 55만원 지급! 사용처까지 한눈에
정부가 2025년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소비쿠폰 정책을 대대적으로 시행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급 대상, 지급금액, 신청방법, 사용처를 포함해 꼭 필요한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목
rohmnook.rohm0407.com
국민비서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전 알림서비스 받는 법
2025년 정부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소비쿠폰을 지급합니다. 대상자라면 가구당 최대 55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 전통시장, 식당, 약국, 미용실 등 다양한 업종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
rohmnook.rohm0407.com
농축산물 할인지원 환급 받는법 전통시장 판매장 활용 가이드
2025년 여름, 농축산물 물가 부담을 덜 수 있는 정부 지원 정책이 시작됩니다. 다양한 유통채널에서 최대 40%까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전통시장을 이용하면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도 가능
rohmnook.rohm0407.com
청년문화예술패스 2차 신청 시작! 조건·사용처·주의사항 총정리
2025년 청년문화예술패스 2차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공연·전시 관람을 지원받을 수 있는 꿀혜택, 어떻게 신청하고 어디서 쓸 수 있을까요?목차청년문화예술패스란?지원대상 및 내용신청 방법
rohmnook.rohm0407.com
지하철 에어컨 문자 요청, 앱 없이 5분이면 바로 시원해지는 법
여름철 출퇴근길, 지하철 안이 너무 덥거나 너무 추워서 불편했던 경험 있으신가요? 지하철 에어컨 문자 요청으로 손쉽게 냉방 민원을 넣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앱 없이
rohmnook.rohm0407.com